자료실

((책 소개)) 아이의 회복탄력성....강한아이로 키우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2-05-18 00:00 조회1,614회 댓글0건

본문







부모의 분노에 자녀는 더 심하게 분노한다 -



마음이 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설명해주는 과정에서 하는 실수는…


부모는 평소 아이의 감정을 정확히 인지하여 표현해 줘야 한다.

이때 “넌 정말 네 멋대로구나.” “아무것도 아닌 일로 울지 마!” 등

아이의 감정을 비난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어떤 부모는 아이도 스트레스를 느낀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한다.

만약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한다면

아이는 스트레스를 주는 상황을 피하려고만 할 것이다.

또 자신의 생각과 다른 결과를 얻었을 때 공격적인 반응을 보이거나, 자신의 무능력을 인정하기 싫어 타인에 의지하려고 할 것이다.

부모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올바로 인식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거나 조절하는 감정조절력을 배우지 못한 아이는 시련이 닥쳤을 때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주저앉아 버린다.



부모는 평소 아이의 감정을 정확히 인지하여 표현해 줘야 한다.

이때 “넌 정말 네 멋대로구나.” “아무것도 아닌 일로 울지 마!”

아이의 감정을 비난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아이는 간혹 타인에게 받은 비난을 자신의 인간적인 가치와 혼동한다. “엄마 아빠는 걸핏하면 나를 혼내. 나를 사랑하지 않는 게 분명해.”

혹은 “내가 울보라고? 난 정말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약한 아이인가 봐.”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래서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정확히 표현해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격한 감정에 휩싸여 있을 때 아이는 자신의 감정에 빠져 혼란을

겪는다. 이때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설명해 주면 아이는 자신이

왜 이런 감정을 느끼는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안정감을 찾는다.



그런데 부모는 종종 이 과정에서 실수를 한다.

부모가 자신의 성향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아이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아이가 ‘느껴야 했는데 느끼지 못한 감정’까지

설명한다. 예를 들어 거미를 무서워하는 부모는 아이가 거미를 보고

피했을 때,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여 설명한다.

아이에게 위험을 객관적으로 비교하여 가르치는 대신 아이의 공포를 더욱 부추기는 것이다.



또 부모는 아이의 감정에 몰입하여 아이의 감정을 과장한다.

아이의 두려움이나 아픔을 과장해서 묘사하는 것은 아이의 감정을

더욱 부추긴다. 이는 아이가 자신의 경험이나 처한 상황을 매우

예민하고 과장되게 받아들이게 한다.

아이가 넘어졌을 때 처음에는 울지 않다가도 부모가 달려가

달래 주면 울기 시작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01.jpg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설명해 주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좋은 자세다. 하지만 아이의 일부 감정은 무시하는 것이 더 좋을 때도 있다.

아이에게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가르칠 때는 부모가 먼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부모의 분노에 자극되어 아이가 더 심하게 분노를 느끼거나, 불안해하는 부모의 모습을 보고

두려움이 커질 수도 있다.



이상적인 부모의 태도는 우선 아이의 감정을 수용한 다음에 그 감정을 판단하거나 가치를 평가하지 않고, 아이에게 자신의 감정을

진정시키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아이가 자신의 삶에 만족하고 행복함을 느끼기 위해서는 자신의

감정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와 동시에 스스로

긍정적인 감정을 유도하고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모나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는 등 긍정적인 경험을 많이 해봐야 한다. 아이에게 꿈과 목표를 가지도록 하는 것도 좋다.





중요한 것은 문제를 받아들이는 사고방식이다



설령 부모의 도움을 받았을지라도, 스스로 문제를 극복한 경험은

아이에게 긍정적인 생각을 심어 준다. 이러한 경험을 한 이후부터는 “나는 그것을 할 수 있어.” “그건 그렇게 어렵지 않아.” 하는 생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아이는 자라면서 익숙한 일들보다 수없이 많은 새로운 문제와 상황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이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느냐는 아이의 사고방식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아이일수록 문제를 간단하게 받아들이고 해결력이 높다.



부모는 아이에게 완벽한 부모는 될 수 없지만,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심어 줄 수는 있다. 부모가 일상생활 속에서 아이에게 보여 주는 삶의 태도나 문제에 대처하는 방식은 아이의 사고방식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부모가 “내가 그걸 어떻게 해.” “잘될 리가 없어.”

라는 말을 자주 한다면 아이는 부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아이에게 무슨 일이든지 긍정적으로 말해 주는 것이 좋다.



물론 세상의 아름다움을 알려 주는 게 목적이 아닌 만큼, 모든 일을

좋게 설명할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항상 긍정적으로 보는 자세를 보이는 것이다.








 


 




img_book_bot.jpg


아이의 회복탄력성 디디에 플뢰 저/박주영 역 | 글담

요즘 아이들은 작은 문제에 심각하게 걱정하고 고민하며 사소한 실패에도 쉽게 좌절한다. 발달심리학 박사이자 임상심리학자인 저자는 아이 스스로 일상 속에 부딪히는 크고 작은 시련과 문제를 이겨 내는 마음의 근육, 즉 ´회복탄력성´을 키워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회복탄력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회복탄력성이 자녀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힘에 대한 문용린 교수의 글을 수록하였고, 왜 회복탄력성이 필요한지를 요즘 아이들의 행동 특성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